세상에는 불행한 사람이 넘친다. 그 이유는?


모두가 더 행복해지길 바라고 있다.


문제는, 행복을 좌우하는 요인의 대부분이, 우리가 컨트롤 할 수있는 범주 외에 있다는 것이다. 유전적 상황이 낙관적으로 보이는 사람도 있지만, 반대로 유전자에 비관적으로 밖에 볼 수없는 사람도 있다. 세상은 나쁜 소식으로 넘치고 있다. 사람은 반드시 친절하지 않으며, 고용도 시시때때로 불안정하다.



하지만 여가 시간이라면 다소 컨트롤이 가능하다. 취미 생활로 행복도가 좌우되는 것은 그것도 이유 중 하나다.


미국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여가 생활을 리얼한 활동으로 보내고있는 청소년에 비해, 화면을 바라보고있는 시간이 긴 젊은이들이 불행하다는 실태가 밝혀졌다. 그것은 10대뿐만이 아니라 어른들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 미국에서 열린 취미 생활과 행복도의 관계 조사


미국 10대 청소년 100만명을 대상으로 한 미국 샌디에이고 주립 대학의 연구에서는, 그들이 자유 시간을 보내는 방법을 조사하고 행복도에 관련된 활동과 그렇지 않은 것을 산출.




2012년 이후, 청소년의 행복도는 크게 감소하고 있지만, 그 원인이 취미 생활의 변화와 관계가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성인의 행복도도 2000년 이후 감소하고 있지만, 그 배경에 대해서도 고찰되었다.



- 행복도를 저하시킨 범인은 화면 너머에 있었다


연구에 사용 된 데이터는, 1991년 이후 매년 실시되고 있는 학생에 대한 대표적인 조사로, 8학년(중학교 2학년), 10학년(고등학교 1학년), 12학년(고등학교 3학년)이 대상이되었다.


매년, 10대들은 전반적인 행복도나 시간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질문하고 있다. 연구에서 밝혀진 것은, 친구와 직접 만난다, 운동, 스포츠, 예배, 독서, 숙제와 같은 활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수록 행복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한편, 인터넷, TV 게임, SNS, 메일, 화상 채팅, TV 등의 활동은 행복도를 낮추는 경향이 있었다.




즉, 화면과 관계하지 않는 모든 활동이 행복도 향상과 관련되고, 화면이 게재하는 모든 활동이 행복도의 저하와 관련이 있는 것이다. 그 차이는 분명하고, 하루에 5시간 이상 온라인에서 보내는 청소년은 하루에 1시간 미만의 자녀보다 2배나 불행한 경향이 있다.


물론, 불행하기 때문에 화면을 요구할 가능성도 생각할 수있다. 그러나 화면의 사용이 원인이며 불행이 그 결과임을 보여주는 연구는 증가하고 있다.



- 불행하기 때문에 화면에 빠져드는 것은 아니다


참가자에게 1주일간 페이스북의 이용을 삼가해달라고 하는 실럼. 거기에서는 피험자의 행복도가 개선되어, 외로움과 우울증이 완화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일 때문에 페이스북을 사용하지 못했던 다른 실험에서도 역시 행복도의 개선을 볼 수 있었다.


심지어 일부 종단 연구에서도, 화면을 응시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불행하게 되는데, 불행하기 때문에 화면을 보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간단하게 조언 할 수 있는것은,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전원을 끄고 무엇이든 상관 없으니 다른 것을 하도록 노력하자는 것이다.